Seong Yeon News
성연소식

성연소식

2023. 6. 6. 국제신문 - 생태도시 부산, 세계도시로의 도약 [김은지 대표변호사 칼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연락처 이메일sy7143379@naver.com 댓글 0건 조회 686회 작성일 23-06-07 09:57

본문

오는 11월 2030세계엑스포 개최지가 결정된다. 부산의 세계박람회 유치 여부는 올해 대한민국에서 가장 주목되는 이슈 중 하나일 것이다. 엑스포 개최지가 부산시로 결정되면 우리나라는 올림픽과 월드컵 포함 3대 메가이벤트를 모두 개최한 세계 7번째 국가가 된다. 61조 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와 50만 명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되고, 부산을 거점으로 한 국가 균형발전을 꿈꿔볼 수 있다. 국가브랜드 홍보와 기업이미지 제고 등 수치화할 수 없는 무형의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도 큰 기대를 모으는 점이다.


정부의 노력과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 국민의 강한 열망과 함께 부산의 여러 요소가 다른 도시보다 경쟁우위를 갖는다고 분석된다. 부산이 6·25전쟁을 비롯한 위기극복을 상징하는 도시라는 점, 2002아시안게임과 2005APEC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국제행사의 도시라는 점이 그것이다. 여기에 더해 개최 후보지로서 차별화 전략으로 ‘기후 위기 극복과 탄소중립 선도도시’를 비전으로 제시했다. 부산이 엑스포 유치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탄소중립 중심도시로의 변화와 더불어 환경적 건전성을 확보한 살고 싶은 생태도시가 되어야 한다.


세계 각국은 2016년부터 온실가스 감축을 약속하고 우리나라도 2050 탄소중립 계획을 천명했다. 그 기본방향의 하나로 산림 습지 등 생태의 탄소흡수 기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도시숲 정원과 같은 생활권 녹지를 조성하고, 훼손지를 복원한다는 것이다. 부산은 도심에 산이 많다는 특성 외에도 탄소중립 선도도시가 될 수 있는 뛰어난 환경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낙동강 하구를 들 수 있는데, 하구 개방으로 세계적인 생태계 복원 성과를 내었고, 그 일대의 철새도래지는 1966년부터 천연기념물 179호로 지정돼 보존되고 있다.


부산시는 이미 천혜의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생태도시 조성에 돌입한 상태이다. 작년부터 낙동강 국가도시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도시공원은 국가적 기념사업 추진과 자연경관 등의 보전을 위해 정부가 지정하는 공원이다. 2016년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법적 근거가 마련된 이후 첫 번째 국가도시공원사업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는 2028년까지 을숙도와 맥도생태공원, 개발 훼손 복구지 등 610만㎡ 규모의 면적을 제1호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받을 계획이다. 사상구는 낙동강 변 4.72㎢ 규모의 삼락생태공원을 전남 순천만과 같은 국가정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삼락생태공원은 습지 수생식물 군락이 있는 철새도래지로서 올해 부산시 지방정원이 되면 3년 뒤 국가정원으로 지정될 수 있다. 국가정원으로서는 국내 최대 규모가 될 것이다. 또한 2025년 말까지 남구의 유엔기념공원을 둘러싼 대연수목원과 녹지 17만6000㎡를 ‘유엔평화의 숲’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부산진구의 시민공원과 함께 부산시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고 생태도시로서 기능을 높여 시민 주거환경의 질을 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는 이미 10년 전 2030 세계박람회 유치를 목표로 원대한 도전을 시작했다. 결국 2018년 부산엑스포 유치가 국가사업으로 결정됐다. 그간 엑스포 행사가 예정된 북항 인근을 개발하여 물적 인프라를 마련했고, 금융과 영화산업을 특화해 국가 균형발전의 거점도시로서의 기반도 상당히 정비된 상태이다. 대중교통과 해안도로의 확충, 가덕신공항 개항으로 도시의 지리적 약점을 보완하고 해양도시로서의 강점을 더욱 강화했다. 이와 함께 생태도시로서의 강점은 세계의 다른 어느 도시에도 뒤지지 않는 경쟁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부산세계박람회는 ‘세계의 대전환,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항해’를 주제로 자연친화적인 삶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나간다는 기치를 내걸었다. 세계박람회의 개최로 부산의 발전을 50년 이상 앞당길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국가적으로 국민소득 5만 달러 시대를 이끄는 동력으로 작동할 수도, 잠재성장률 하락을 돌파할 발판이 될 수도 있다. 생태도시 부산의 글로벌도시로의 도약은 우리나라의 미래를 위한 대전환의 기회이다. 2030년 세계박람회가 부산에서 열릴 것을 고대한다.